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가 미국에 평균 1.3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며 바짝 뒤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정보통신연구진흥원(IITA·원장 이성옥)이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국내 산·학·연 전문가 500명을 대상으로 정보통신 14대 전략 분야 총 506개 세부 핵심기술 수준을 세계 각국과 비교, 설문한 결과 미국에 평균 1.3년 뒤진 것으로 조사됐다. 또 각국 비교에서 유럽은 0.7년, 일본은 0.9년, 중국은 2.4년이 각각 미국에 뒤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. 이 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미국과 디지털TV·방송 0.5년, 텔레매틱스 0.7년, 차세대 이동통신이 0.9년의 기술격차를 보여 세계 최고 수준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. 가장 뒤지는 분야는 미국에 평균 2.8년이 뒤진 SW솔루션이었다. 이어 신생·원천기술 분야인 IT융합(IT-BT, IT-NT) 부문이 2.4년, 지능형 로봇이 1.8년 순이었다. | ||||
| ||||
디지털콘텐츠 부문은 기술격차가 1.0년, 광대역통합망(BcN)·홈네트워크·IT SoC 및 부품, 임베디드SW가 모두 1.1년, RFID·USN 1.3년, 정보보호 1.4년, 차세대컴퓨팅·주변기기가 1.5년이었다.
|